대한민국은 세계 경제사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의 급속한 경제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한강의 기적’이란 말로 수많은 개발도상국들의 롤모델이 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한강의 기적’의 이면에는 과도한 성장주의와 국가 혹은 특정 기업의 주도하에 이룩한 산업화와 매일 같이 이어지는 야근, 특근 등 개인의 희생이 있었습니다. 카리스마 있는 리더의 강력한 리더십이 통하던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대한민국은 어떤가요? 내외부적 요인들로 인해서 성장률은 정체되어 있습니다. 경제를 위한 개인의 희생을 당연시 했던 인식은 어떤가요? ‘워라밸’이라는 신조어가 말해주듯, 이제는 일과 개인 삶의 균형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위기입니다. 거기에 7월 1일부터 시행한 ‘주52시간 근무제’는 우리의 삶에 모습에 많은 변화를 주기 시작했습니다. 개인의 삶 차원에서는 ‘워라밸’을 실현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을 것입니다. 반면 일을 하는 입장에서는 줄어든 근무시간만큼 효율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만 하는 것입니다.
 
과거 제조업 중심의 산업에서는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은 간단했습니다. 많은 노동시간과 많은 인센티브는 곧바로 성과 증대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을 이야기하는 요즘의 산업구조는 단순하지 않습니다. 반복적인 업무가 아니라 항상 새로운 상황과 사람을 상대하는 업무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1945년부터 2012년까지 67년간 진행했던 칼 던커의 ‘촛불 실험’을 통해서 우리는 새로운 업무에 보상이 주어지면, 그 보상이 높을수록 성과는 낮아지고, 실수 확률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보상을 걸면 사람들의 주의가 분산되고, 그 결과 처음에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을 잊어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집중을 요하는 새로운 업무에 보상은 오히려 독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