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미국 남 캘리포니아 대학의 마틴 힐버트와 스페인 바르셀로나 카탈로니아 개방 대학의 프리실라 로페즈는 <사이언스> 논문을 통해 2002년을 디지털 시대가 열린 해로 지목했다고 합니다. 신문이나 책 혹은 사진 영상, 영화 필름처럼 아날로그 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던 시대가 지나갔다는 말이지요.

이제 더는 과거처럼 한 개 정보를 기록하고 그걸 다시 찾아내는 일에 많은 시간을 들일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인터넷의 발달을 통해 정보의 유통 속도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졌기 때문입니다. 특히 자연과학 분야의 발견의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지면서 동시에 지식의 생동성도 급격하게 떨어지게 됩니다. 낡은 지식 즉, '과학적 쓰레기'를 파괴하고 관리하는 데만도 상당한 노력을 들이지 않으면 안 되는 때가 도래한 것이지요.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위즈덤하우스 刊)은 엄청나게 많은 정보들이 쏟아지듯 생성되는 오늘날, 진정한 통찰을 가능하게 하는 과학적 사고란 무엇인가에 대해 탐구한 도서입니다.

대체로 많은 위대한 통찰이 ‘노벨’이라는 인증서를 받아왔기 때문에,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발견의 순간과 그 발견을 가능하게 한 과학적 사고에 대해 추적하고 있습니다만, 그러나 이 책에서 노벨상이 지니는 의미는 크지 않습니다. 노벨상을 수상했건 수상하지 않았건, 대체로 통찰을 가능하게 하는 발견과 증명의 태도는 특정한 패턴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그 유명한 과학자 센트죄르지의 문장으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생명이란 쉴 곳을 찾는 전자일 뿐"이라는 그의 통찰은 생명의 가장 작은 단위인 전자가 어떻게 인간이라는 블록구조물을 생동하게 하는지 전 과정을 압축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태양에서 시작한 에너지의 흐름이 최종적으로 물로 변해가는 전 과정을 넘나드는 비타민에 관해 설명합니다. 동시에 누구도 생각지 못한 방식으로 가장 먼저 의문을 품고 질문한 이들에 대해 기록합니다. 온갖 위험을 무릅쓰고, 지루하고 고통스럽게 반복하고 열중해나간 끝에 누구도 보지 못한 것을 가장 먼저 확인한 이들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