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전화와 문자 중 어떤 소통이 더 편하게 느껴지시나요? 보통 문자로 이어지는 소통을 훨씬 편하게 생각할 겁니다. 전화는 지금 하고 있는 일을 멈춰야만 통화가 가능합니다. 누군가 대화 중이라면 양해를 구해야 하고, 밥을 먹는 중이라면 잠시 숟가락을 내려놓아야 하지요. 하지만 문자를 보낼 땐 전화할 때 하게 되는 긴 인사치레를 하지 않아도 돼 감정 소모도 적고, 내가 원할 때 원하는 방식으로 답을 할 수 있습니다.

여러 사람에게 동일한 말을 전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손쉽게 그룹 채팅을 하면 아주 간단해지지요. 이런 소통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발전 이후 더욱 자연스럽고 활발해졌습니다. 카카오톡, 라인, 밴드,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 앱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기 때문에 문자 소통이 대부분 사람의 일상에서 자연스러운 소통 방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우리 삶에 녹아든 문자 중심의 대화가 편리하고 감정 소모가 적다고 과연 다 좋기만 한 것일까요?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우리는 끊임없이 사람들과 문자 소통을 하지만 이상하게도 예전보다 더 고독감을 느끼며 쉽게 우울해합니다. 잠시라도 짬이 생길라치면 너 나 할 것 없이 다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사람들과 접속 가능한 인터넷 세상으로 들어가지만, 오히려 이전보다 정서적인 단절감과 외로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진 듯합니다. 도대체 왜 이런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일까요?


 


미국 MIT대학교 사회심리학자인 셰리 터클은 지금의 현상을 “함께 있지만 따로 있는(Alone Together)” 상태라고 설명합니다. 즉 같은 공간에 있긴 하지만 우리 각자의 마음은 스마트폰을 통해 모두 다른 곳에 가 있다는 것이지요. 친구들과 모임을 하거나 회사에서 회의할 때, 하물며 함께 밥을 먹을 때도 조금이라도 지루하거나 틈이 생긴다 싶으면 스마트폰을 꺼내 메시지를 체크하거나 앱을 열어 다른 세계와 접속합니다.

셰리 터클 교수에 따르면 이런 인터넷상에서의 접속과 진정한 의미의 ‘소통’은 다른 것이라고 단언합니다. 문자를 통한 접속은 언제라도 개인이 불편하다고 느끼면 쉽게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이 불가능한 실제 대화와는 상당히 다르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실제 대화에선 내가 상대에게 실수로라도 상처 주는 말을 했을 때 상대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어떤 아픔을 느끼는지 그의 표정이나 목소리 등을 통해 생생하게 느낄 수 있지만, 스마트폰을 통한 문자 소통은 상대의 아픔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상대를 극심하게 괴롭혀놓고도 자신이 어떤 잘못을 했는지 잘 알지 못합니다. 게다가 조금이라도 상대가 싫거나 불편하면 그냥 차단해버릴 수도 있으니 자칫하면 대화가 일방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서로의 감정을 깊이 공감하거나 소통하기는커녕 잘못하면 상처와 공격만 남게 됩니다.

또한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씩 다른 사람들이 보낸 메시지를 체크하거나,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에 올려진 타인의 생활을 들여다보며 생활합니다. 그러다 보니 스마트폰 없는 혼자만의 시간이 불편하고 심지어는 불안하게 느껴집니다. 나 혼자 오롯이 있는 시간을 갖지 않다 보니 타인에게 자꾸 의존하는 버릇이 생기고, 그러니 지인의 문자나 SNS에 올라오는 친구들의 사진과 글이 없으면 외로움도 증폭할 수밖에 없습니다. 친구에게 보낸 문자에 한동안 답이 없으면 내가 무시당하는 것 같고 심지어는 버려진 것 같아 혼자 있는 그 시간이 점점 견디기 어려워지지요.
 
우리는 어째서 다들 외로워하면서도 목소리를 나누는 통화나 면 대 면으로 만나는 건 왜 부담스러워하는 걸까요? 현대인들이 느끼는 이 새로운 고독에서 어떻게 하면 벗어날 수 있을까요? 《고요할수록 밝아지는 것들》은 혜민 스님의 마음돌봄 3부작의 완성이라고 할 수 있는 책으로, 현대인의 외로움, 가족관계와 우정, 소소한 행복과 삶의 가치 등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두에게 필요한 다양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복잡하고 소란한 세상 속에서 나 자신을 지키는 데 《고요할수록 밝아지는 것들》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